창업 6

웹서비스 창업: 시간과 전략의 균형 맞추기

웹서비스 창업은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것을 넘어, 시간과의 치열한 싸움이기도 합니다.물론, 많은 자본을 투입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도 있지만, 창업 초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충성고객을 확보하고 이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웹사이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입니다.이는 단순히 시간과 자원의 문제를 넘어, 성공적인 웹서비스 운영의 핵심 전략이기도 합니다. 완벽한 사이트를 처음부터 구현하는 것은 이상적일 수 있지만, 현실적인 접근 방식은 다릅니다.**최소 기능 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을 먼저 출시하고, 사용자들의 반응을 통해 사이트를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이는 초기 개발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자들이 원하는 기능을 정..

도서 창업가의 브랜딩 후기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899583 창업가의 브랜딩 | 우승우 - 교보문고창업가의 브랜딩 | ‘나만의 브랜드’에서 답을 찾아라!작은 기업이나 개인뿐 아니라, 자기만의 브랜드와 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스타트업과 종사자들을 위한 가이드 『창업가의 브랜딩』. 브랜product.kyobobook.co.kr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최근에 읽은 책, **"창업가의 브랜딩"**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 책은 창업가와 기업가들이 자신의 브랜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를 다룬 책으로, 브랜딩의 중요성과 전략을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책 소개**"창업가의 브랜딩"**은 창업가가 자신의 비즈니스와 개인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

리뷰 및 후기 2024.09.06

위험요소를 줄여라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창업에 위험요소를 줄여라"입니다. 흔히 리스크라고 하죠. 리스크를 줄이는 창업을 해라, 이게 오늘의 주제입니다. 이거 모르는 사람 있을까요? 다들 알죠. 아는 대도 이상하게, 행동이 달라지는 분들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주제를 정했는데, 실제 현장에서 일하면서 리스크를 줄이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간과하시는 분들을 많이 봐왔습니다. 제가 추구하는 모토는 "큰 성공"이 아니라고 말씀드렸죠. 저는 "실패가능성이 적은" 창업을 추구합니다. 이 모토에 동의하시는, 창업을 희망하거나, 투잡을 희망하시는 분들과 함께 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짊어져야할 책임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 실패위험이 적고, 실패하더라도 재기할 수 있는 그런 창업을 추구할 겁니다. 또는 투잡으로 본업과 병행이 가..

사업아이템 도출하기

오늘 주제는 앞서 예고한 대로, IT사업에 대한 아이디어 디벨롭을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아이디어 디벨롭이란 말이 생소한 분들도 있을 테니,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사업 아이템을 선정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러분. 창업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창업을 하고 싶긴 한데, 두렵기도 하고, 뭘 어떻게 창업해야할지 모르시겠나요? 이제부터 제가 하는 이야기가 여러분에게 작게 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작은 조언 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이 가지고 계신 그 고민은 여러분이 아니어도 창업 초기, 또는 창업을 준비중이신 분들 대다수가 생각하는 고민입니다. 왜 앞서 영상에서도 제가 한국인 특유랍시고 이야기 했던 그것, 뭐가 된다고 하면 우르르 몰려간다는 그 성향. 그게 왜 그럴까요? 왜 그렇게들 뭣 좀 된..

창업하실 생각이라면 IT사업으로 도전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IT창업 아이디어 도출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특히나 오늘 내용의 대상은, 창업이나 투잡을 고민중이신 분들에게 나름의 제 생각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제가 산업구조라든가, 미래 전망 이런쪽에 전문가가 아니니까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말씀 못드리구요. 그런 것보다는 당장 눈앞에서 체감되는 문제와 비즈니스 관련해서, 현업종사자로써 의견을 말씀드릴께요. 우리나라가 선진국 기준으로 유독 자영업 비중이 높다는 얘기는 아마 많이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예전에는 그런 농담도 있었죠. 마지막 테크트리는 닭튀기는 거라고. 뭘해도 마지막엔 치킨집이라는 그런 자조섞인 농담이 유행하던 시절이 있었죠. 요즘은 그런거 안보이는거 같은데. 이게 마냥 농담이라고만 하기 어려운게, 실제 대부분 분들이 퇴직하..

IT창업, 앱이냐 웹이냐

먼저 이 질문에 전제가 필요하다. 그건 "소자본 대비 최대 효과"를 전제로 한다. 충분한 자본력을 갖추고 있다면, 전략 자체가 달라지므로 지금부터 할 얘기의 주제에서 완전히 벗어난다. 하지만 내가 IT 창업을 준비하고 있고, 아이디어가 있지만 관련 지식이 부족하며, 어떻게든 비용을 아껴야만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면 주목해 보시라. 작금에 앱 시장은 이미 숙련된 시장이 된지 오래다. 물론 웹이라고 다를 건 없다. 최근에 당신의 폰에 새로운 앱을 몇개나 깔아보셨는가? 최근에 마켓에서 인기 Toop 50순위가 얼마나 변동 되었는가? 이제 사람들은 확실하게 검증된, 이미 익숙한 앱만을 설치하려 든다. 그나마 새로운 앱을 설치한다면 그건 게임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마저도 이제 검증된 게임이 아니라면 쉬이 설치하지 ..

IT 비즈니스 2023.02.19
반응형